WON HA

Critics

Aperture between the real and the virtual

– Ha Won’s digital image installation

Ha Won has provoked questions on ‘the real and the virtual’ within her previous works like series pieces of silkscreen tree images or pieces of wood chunk made of paper-casting. For this solo exhibition, Ha expands her method of expression toward digital images and moving image installation. The extension of a medium means the change in representational tool or method of an artist, however, it does not always related with the change of the artistic perspective of an artist. Rather, artist’s artistic perspective can be polished and improved through experiences of diverse methods of expression. Today’s art calls young artists for breaking away from dichotomy of two-dimension and three-dimension and exploring various new media. Under this circumstance, some artists actively bring the concept of time and the issue of space in their works.

           In both Ha’s paper-casting pieces and moving image installation pieces, a coherent subject resides; that is, something that can be summarized in a phrase of ‘a question on the real and the virtual and its creative realization’. In fact, the questions on the real and the virtual in art had been raised long ago along with the concept of reproduction. And such a concept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arrival of modernists who deconstructed the illusion, the peel of object, and drew attention to objectness of canvas. However, the question on the real and the virtual – the question on the optical/perceptual nature of objects – still seems effective for us in the 21st century. That is because the way to respond to the question cannot be concluded by certain ideologies and styles but it is constantly redefined itself according to new philosophy and trends. For instance, the Cubists revealed the meaning of optical/perceptual nature in process of objects’ ‘deconstruction and assembling’ and the Surrealists found it in the break between ‘dream and reality’.

           Ha’s experiments in recent pieces is attention-grabbing since they display a certain mechanism that can be described as a perceptive pattern of the contemporaries. Under the present condition that our everyday lives are dominated by advanced new media and technology, her works are based on ‘the structure of modules and arrangement’ that is widely known as the basic makeup of digital images. Digital images are identified with arrangement of bits as printed images are constellation of dots. Build upon the structure of images, her works do not need narrative array of subject. The landscapes as the subject function as tools for revealing perceptual system while oscillating between ‘the real and the virtual’. In the abstraction process of real landscape into myriad squares, thus, viewers’ eyes encounter the virtual nature of digital moving images.

          

           For this exhibition, Ha created two moving image installation pieces. And the title of the exhibition, <Wandering the edge of time>, encloses her interests in the flow and the repetition of time.

           In the first gallery, three big screens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walls and in the center and fluffy images of forest with leaves shuddering by winds are projected onto these screens. With the closer look, viewers would find the tree images are slowly destroyed by digital handling and they are completely converted into the big square color fields. And each of screens displays the reversed transformation between real landscape and geometrical forms and holds opposing images each other as well. While walking around the gallery, viewers also interrupt the projected images on screen with their shadows created by lights from projector and this viewers’ intrusion is intended to involve viewers into the images. Besides, the square tracing papers attached onto the whole screens are notable point of the piece since they respond emotionally to waving leaves while minutely fluttering following to current of air caused from viewers’ movements.

           Composed with twenty-four TV monitors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floor and one huge projected image of sea onto the whole right wall, the other installation piece is located at the second gallery. What is significant in this piece is that the entire images are fractioned with square units in the same matter with the other work. The image on wall is programmed to display sea landscape split into twenty-four parts, and these image parcels repeat a procedure of fading away one by one per second and flocking together to create the original image. Then, each of twenty-four images appear on the twenty-four TV screens on the floor and each of them demonstrates the repetitive cycle of sea image’s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abiding by binary system of ‘on and off’. In addition, electric circuits between monitors and resonance of regular blink of switches generate an atmosphere of mechanical manipulation to viewers.  

           Thus, the identical quality between two installations lies in ‘the structure of modules and arrangement’, the nature of digital image. By cruising between natural landscape and color field or repeating a procedure of image’s deconstruction and completion regularly, Ha creatively realizes a visual mechanism that loops around the real and the virtual – what she has pursued continuously.

           Here, we need to ask one question. From where is her interest in structure of digital image stemmed? To raise such a question can help u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social condition and artist’s artistic perspective. Of course, it is the artist who is responsible for the answer. In the contemporary life that is controlled by digital media, however, we know that our values and knowledge are based on digitally programmed information; in this sense, it may not be so difficult to comprehend her works as a procedure of active acceptance or rejection regarding virtual reality.

           To some who do not want to be concerned about concepts such as digital media, virtual reality, information image, spectacle and etc. in front of her works, the implication of modernist history from representational realism to non-figurative abstract art is also feasible to appreciate her works. Or, just having a quiet meditative time with her artistic sense, expressed in dimly vibrating leaves and lyrical sea landscape, is enough to enjoy her works.

Kim Young-Ho
(Professor, Joong-Ang University, Ph.D. in Art History)

실재와 가상의 틈

– 하원의 동영상 설치작업

한 동안 종이캐스팅으로 떠낸 나무토막이나 실크스크린으로 찍어낸 나무 이미지 연작을 통해 존재의 ‘실상과 허상’에 대한 물음을 꾸준히 제시해온 하원이 이번에는 그 표현방법을 디지털 이미지로 확장시켜 영상설치 작업으로 개인전을 꾸몄다. 매체의 확장이란 작가가 다루는 표현 도구나 방법의 변화를 의미하지만 그것이 반드시 작가가 추구하는 예술관의 변화를 뜻하는 것이라 볼 수는 없다. 오히려 작가의 예술관은 다양한 표현매체에 의해 연마됨으로서 보다 든든한 결실을 맺기도 한다. 사실 오늘의 청년작가 세대는 과거의 어느 때 보다도 평면과 입체의 이분법에서 벗어나 다양한 미디어를 채택할 것을 요청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부 작가들은 자신의 작업에 공간의 문제와 함께 시간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기도 한다.

하원의 종이캐스팅 작업과 영상설치 작업 사이에는 일관된 하나의 화두가 자리하고 있다. 그것은 이미 언급한 것처럼 ‘존재의 실상과 허상을 둘러싼 물음과 그 조형적 실현’이라는 말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따지고 보면 미술의 영역에 있어 실상과 허상에 대한 물음은 모방의 개념과 함께 오래 전부터 제기되어 왔다. 사물의 껍질인 일루젼을 과감히 벗어버리고 캔버스의 물성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모더니스트에 이르면서 개념의 변화를 겪기도 하였다. 그러나 21세기를 사는 우리들에게 아직도 존재의 시지각적 본질에 대한 질문은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그것의 의미를 인식하는 방식은 특정의 이념이나 형식에 의해 완결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시대에 따라 새롭게 규정될 성질의 것이기 때문이다. 가령 입체주의 작가들에 있어 지각된 존재의 의미는 사물의 ‘해체와 조립’의 과정에서 밝혀지지만 초현실주의자들에게 그것은 ‘꿈과 현실’ 사이의 틈을 주시하는 것에서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다면 하원이 시도하는 일련의 작업은 현대인의 지각방식이라 할 어떤 메커니즘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첨단의 정보 미디어가 일상을 지배하는 오늘의 상황에서 작가의 작업은 디지털 이미지의 본성인 ‘단위와 조합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인쇄된 이미지가 망점의 집합이라면 디지털 이미지는 비트의 순열에 의해 그 정체가 규정된다는 점이 이를 대변한다. 이미지의 구조에 관심을 두고 있는 하원의 작품은 따라서 주제에 대한 서술적인 나열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작가가 선택한 주제로서 풍경은 ‘실재와 가상’ 이라는 두 개의 이미지 사이를 오가는 지각체계를 드러내기 위한 도구적 기능을 우선적으로 지니고 있다. 실재 이미지가 무수한 사각 면으로 추상화되는 과정에서 우리의 시각은 디지털 영상 이미지의 가상적 속성을 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번 개인전에서 하원은 두 개의 동영상 설치작업을 선보이고 있다. 작가는 이 전시회에 <시간의 자리를 맴돌다>라는 제목을 달아 놓았는데 이는 작가가 시간의 흐름과 그 반복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하는 대목이다.

우선 첫 번째 전시실에 들어서면 좌우 벽면과 전시장 중앙에 각각 설치된 세 개의 대형 스크린을 대하게 되는데 화면 모두에는 잎사귀가 바람결에 물결치는 가벼운 숲의 이미지가 투사되고 있다. 걸음을 멈추어 서서 화면을 자세히 바라보면 나무 이미지는 디지털 조작에 의해 천천히 해체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결국 거대한 사각의 색면으로 환원된 이미지만이 남게된다. 각각의 스크린 이미지는 이러한 실재 풍경과 기하학적 도상 사이의 순환적 과정을 역으로 보여주며 앞의 화면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전시장 안을 거니는 도중에 관객은 프로젝터에서 발사된 빛에 의해 자신의 그림자가 비추어진 화면 앞에 서게 되기도 하며, 이를 통해 숲의 변화하는 이미지에 관객을 간섭시키려는 작가의 의도를 엿보게 한다. 그밖에도 주목되는 부분은 스크린에 전체에 부착된 사각의 트레이싱 페이퍼들인데 이것들은 관객이 이동하면서 발생시키는 바람에 의해 미세하게 출렁이며 화면 속에서 팔랑이는 나뭇잎들의 움직임에 심리적으로 반응하고 있다.

다시 걸음을 안으로 옮겨 두 번째 전시실로 들어서면 이번에 보이는 것은 오른쪽 벽면 전체에 투사된 바다 이미지와 전시장 바닥에 횡대로 배치된 24개의 텔레비전 모니터들이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앞의 작업에서와 같이 전체 이미지를 사각의 마디로 분절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물결이 이는 바다 이미지를 담은 화면은 24개의 단위로 나누어 벽돌처럼 쌓아 놓은 것처럼 보이게 프로그래밍 되어 있으며 매 초마다 하나씩 차례로 사라졌다가 다시 원형으로 조합되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다. 한편, 벽면 이미지와 분리된 채 바닥에 설치된 모니터들은 앞서 말한 24개의 단위들을 하나씩 담고 있으며 바다 이미지의 구축과 해체의 반복적 순환의 과정을 온(ON)과 오프(OFF)의 이진법으로 뒤따르고 있다. 한편, 전시장에는 모니터 사이를 지나는 회로들 그리고 단절의 음절을 알리듯 규칙적으로 점멸하는 스위치의 철걱거림이 공간을 진동하며 관객들로 하여금 자신이 기계적 조작의 영역에 서 있음을 느끼게 한다.

이상에서 본 두 영상 설치작업에 나타나는 공통점은 앞서 말했듯이 디지털 이미지의 본질이라 할 ‘단위와 조합의 구조’에서 발견된다. 자연 이미지와 순수 색면 사이를 끊임없이 오가거나, 아니면 이미지의 조합과 해체 과정을 단계적으로 반복함으로서 작가는 자신이 추구하는 실재와 가상 사이를 맴도는 시각체계의 매커니즘을 예술적 방법으로 실현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이 대목에서 다시 질문하게 된다. 작가가 시도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구조에 대한 관심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이러한 질문의 반복은 작가가 속해있는 문화 사회적 정황이 작가의 예술관과 어떠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가를 따져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대한 답변은 물론 작가의 몫으로 남아있다. 그러나 디지털 매체가 지배하는 현대적 삶에서 우리의 가치관이나 지식은 프로그래밍 된 정보에 의해 확립되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그의 작업이 이러한 가상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 혹은 대응의 과정으로 파악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만일 우리가 그의 작업 앞에서 현대성의 다양한 특성으로 꼽히는 디지털 미디어, 가상 현실, 정보 이미지, 스펙터클 등의 개념을 떠올리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실상 이미지가 화면 위에서 기하학적 코드로 변화되고 있는 과정을 재현적 사실주의에서 비대상적 추상의 세계로 이동하는 모더니즘 미술의 폭력적 역사를 함축적으로 보여준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이다. 그도 아니면 미풍에 떨리는 나뭇잎의 숲이나 세월을 보내듯 무심히 흐르는 바다의 서정을 섬세하고 세련된 조형언어로 보여주는 작가의 예술적 감각에 잠시 기대어 명상의 시간을 가져도 즐거울 것이다.

김영호 (미술평론가, 미술사학박사)